[Baekjoon] 1260.DFS와 BFS (node.js)
일흔 네 번째 포스팅
안녕하세요! 일흔 네 번째 포스팅으로 찾아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오늘의 포스팅 내용은 백준 - DFS와 BFS에 관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러 갑시다❗️
[Boongranii] Here We Go 🔥
1️⃣ 문제
💨 문제 설명
그래프를 DFS로 탐색한 결과와 BFS로 탐색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방문할 수 있는 정점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정점 번호가 작은 것을 먼저 방문하고, 더 이상 방문할 수 있는 점이 없는 경우 종료한다. 정점 번호는 1번부터 N
번까지이다.
💨 입력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
(1 ≤ N ≤ 1,000), 간선의 개수 M
(1 ≤ M ≤ 10,000),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
가 주어진다. 다음 M
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 어떤 두 정점 사이에 여러 개의 간선이 있을 수 있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간선은 양방향이다.
💨 출력
첫째 줄에 DFS를 수행한 결과를, 그 다음 줄에는 BFS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V
부터 방문된 점을 순서대로 출력하면 된다.
💨 입출력 예
※ 참고로 변수 설정 및 입력값 설정은 해결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아래와 같이 배열 및 변수명은 본인이 커스텀한 것임.
N | M | V | arr | return |
---|---|---|---|---|
4 | 5 | 1 | [1, 2], [1, 3], [1, 4], [2, 4], [3, 4] | [1, 2, 4, 3], [1, 2, 3, 4] |
5 | 5 | 3 | [5, 4], [5, 2], [1, 2], [3, 4], [3, 1] | [3, 1, 2, 5, 4], [3, 1, 4, 2, 5] |
1000 | 1 | 1000 | [1000, 1, 1000], [999, 1000] | [1000, 999], [1000, 999] |
💨 알고리즘 분류
2️⃣ 문제 풀이
🔥 나의 문제 풀이
- 먼저, 그래프를 만들어줌. → 각 노드에 대한 간선 정보를 저장함.
- dfs와 bfs 함수를 만들어줌.
- 숫자가 작은 노드부터 방문하므로, 간선 정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함.
- dfs 함수를 통해 시작 노드부터 탐색하고, bfs 함수를 통해 시작 노드부터 탐색함.
- dfs와 bfs 함수를 호출하고, 결과값을 출력 요구사항에 맞게 출력함.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const fs = require("fs");
const filePath = process.platform === "linux" ? "/dev/stdin" : "example.txt";
const input = fs.readFileSync(filePath).toString().trim().split("\n");
const [N, M, V] = input[0].split(" ").map(Number);
const arr = input.slice(1);
const graph = Array.from({ length: N + 1 }, () => []);
for (let i = 0; i < M; i++) {
const [a, b] = arr[i].split(" ").map(Number);
graph[a].push(b);
graph[b].push(a);
}
for (let i = 1; i <= N; i++) {
graph[i].sort((a, b) => a - b);
}
function dfs(start) {
const visited = Array(N + 1).fill(false);
const result = [];
function _dfs(v) {
if (visited[v]) return;
visited[v] = true;
result.push(v);
for (let next of graph[v]) {
if (!visited[next]) {
_dfs(next);
}
}
}
_dfs(start);
return result;
}
function bfs(start) {
const visited = Array(N + 1).fill(false);
const result = [];
const queue = [start];
visited[start] = true;
while (queue.length) {
const node = queue.shift();
result.push(node);
for (let next of graph[node]) {
if (!visited[next]) {
visited[next] = true;
queue.push(next);
}
}
}
return result;
}
console.log(dfs(V).join(" "));
console.log(bfs(V).join(" "));
주어진 문제는 DFS와 BFS를 사용할 수 있다면 금방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두 가지 탐색 방법을 활용해서 주어진 그래프에서 특정 노드를 시작점으로 탐색한 결과를 출력하면 된다.
각 간선 정보를 읽어서 graph
배열에 추가하여 간선 정보를 저장한다. 그러고나서 각 노드의 인접 노드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그리고 나서 _dfs
함수를 통해 현재 노드를 방문 처리하고, 인접 노드를 재귀적으로 방문하면 된다.
또한, BFS도 BFS 로직에 맞게 방문 처리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출력 결과에 맞게 출력하면 된다.
3️⃣ 느낀점
DFS와 BFS를 깨우치기 좋은 문제인 것 같다.
이상털😌💫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