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 베스트앨범
쉰 다섯 번째 포스팅
안녕하세요! 쉰 다섯 번째 포스팅으로 찾아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오늘의 포스팅 내용은 프로그래머스 - 베스트앨범에 관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러 갑시다❗️
[Boongranii] Here We Go 🔥
1️⃣ 문제
💨 문제 설명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장르 별로 가장 많이 재생된 노래를 두 개씩 모아 베스트 앨범을 출시하려 합니다. 노래는 고유 번호로 구분하며, 노래를 수록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속한 노래가 많이 재생된 장르를 먼저 수록합니다.
- 장르 내에서 많이 재생된 노래를 먼저 수록합니다.
- 장르 내에서 재생 횟수가 같은 노래 중에서는 고유 번호가 낮은 노래를 먼저 수록합니다.
노래의 장르를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genres와 노래별 재생 횟수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plays가 주어질 때, 베스트 앨범에 들어갈 노래의 고유 번호를 순서대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 제한 사항
- genres[i]는 고유번호가 i인 노래의 장르입니다.
- plays[i]는 고유번호가 i인 노래가 재생된 횟수입니다.
- genres와 plays의 길이는 같으며, 이는 1 이상 10,000 이하입니다.
- 장르 종류는 100개 미만입니다.
- 장르에 속한 곡이 하나라면, 하나의 곡만 선택합니다.
- 모든 장르는 재생된 횟수가 다릅니다.
💨 입출력 예
genres | plays | return |
---|---|---|
[“classic”, “pop”, “classic”, “classic”, “pop”] | [500, 600, 150, 800, 2500] | [4, 1, 3, 0] |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classic 장르는 1,450회 재생되었으며, classic 노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고유 번호 3: 800회 재생
- 고유 번호 0: 500회 재생
- 고유 번호 2: 150회 재생
pop 장르는 3,100회 재생되었으며, pop 노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고유 번호 4: 2,500회 재생
- 고유 번호 1: 600회 재생
따라서 pop 장르의 [4, 1]번 노래를 먼저, classic 장르의 [3, 0]번 노래를 그다음에 수록합니다.
- 장르 별로 가장 많이 재생된 노래를 최대 두 개까지 모아 베스트 앨범을 출시하므로 2번 노래는 수록되지 않습니다.
※ 공지 - 2019년 2월 28일 테스트케이스가 추가되었습니다.
2️⃣ 문제 풀이
🔥 나의 문제 풀이
- 장르별로 재생 횟수를 더하고, 고유 번호에 따른 재생 횟수와 장르를 담음
- 1번 기준으로 장르별로 정렬(재생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 장르별로 재생 횟수가 많은 노래 2개씩 추출
- 고유 번호를 result에 담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function solution(genres, plays) {
const result = []; // 결과 담을 배열
const obj = {}; // 속한 노래가 많이 재생된 장르 수록할 객체
const info = {}; // 고유 번호에 따른 재생 횟수와 장르를 담을 객체
// 장르별로 재생 횟수를 더하고, 고유 번호에 따른 재생 횟수와 장르를 담음
for (let i = 0; i < genres.length; i++) {
obj[genres[i]] = (obj[genres[i]] || 0) + plays[i];
info[i] = { play: plays[i], genre: genres[i] };
}
// 재생 횟수가 많은 장르 순으로 정렬 → 1번 기준
const sortedGenre = Object.keys(obj).sort((a, b) => obj[b] - obj[a]);
sortedGenre.forEach((genre) => {
// 장르별로 재생 횟수가 많은 노래 2개씩 추출
const genreSong = Object.values(info)
.filter((song) => song.genre === genre)
.sort((a, b) => b.play - a.play)
.slice(0, 2);
// 고유 번호를 result에 담음
genreSong.forEach((gs) => {
const uniqueId = Object.values(info).indexOf(gs);
result.push(uniqueId);
});
});
return result;
}
console.log(
solution(
["classic", "pop", "classic", "classic", "pop"],
[500, 600, 150, 800, 2500]
)
);
해시문제라 확실히 key-value
값을 사용하면 확실하고 수월하게 해결할 수 있다. 객체를 사용해야겠다고 느낀 것은 info
객체를 만들어야겠다고 느꼈을 때이다.
info
객체에 고유 번호에 따른 재생 횟수와 장르를 담기 위해서는 여러 key-value
쌍이 담긴 객체가 필요했다.
그 이후로는 문제가 시키는대로만 진행하면 된다.
일단 1번 기준에 따라서 속한 노래가 많이 재생된 장르가 담긴 obj
객체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이 값을 사용하여 순회하면 된다. 장르별로 재생 횟수가 많은 노래를 2개씩 추출하기 위해서는 장르가 같은 것을 추출하고 재생 횟수가 내림차순이며 slice()
를 통해 뽑아주면 된다.
그리고 info
객체의 인덱스를 활용하여 고유 번호를 result
에 담아주면 된다.
3️⃣ 느낀점
코딩테스트를 보고 나서 현타(?)가 오기도 했으면서 한편으로는 더 열심히 자세히 공부 해야겠다고 자극받은 좋은 경험이었던 것 같다.
수많은 알고리즘을 차근차근 공부하며 해결법을 숙지하도록 해야겠다. 채용 오픈채팅방에서는 시간복잡도 분석을 통해 문제를 푼다고 한다…
그래야 효율성에서도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어나더레벨이라는 벽을 느꼈지만 꾸준히 하다 보면 문제를 보고 “아 ~~알고리즘으로 해결 해야겠다”고 느끼지 않을까,, 일단 화이팅털❗️💕
댓글남기기